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세상

2023년 장마 예상시기 ㅣ 장마 대처법

by freelife40 2023. 6. 9.
반응형

2023년 우리나라 장마 예상시기 ㅣ 장마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장마예상시기

2023년의 경우 슈퍼 엘니뇨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해양대기청에서는 엘니뇨로 올해 하반기에 사이클론, 폭우, 가뭄 등의 극단적인 날씨가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엘니뇨는 2-5년마다 상대적으로 낮았던 열대 동태평양과 중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으로 엘니뇨가 발생하면 비가 적게 내리던 지역은 폭우가 쏟아지고, 비가 많이 내리던 지역에서는 가뭄이 일어나는 등 기상 이후 현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1. 2023년 우리나라 장마예상 시기

장마
장마

일본은 벌써 장마가 시작되면서 우리나라 평균 장마가 언제인지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최근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 등 황금연휴에도 비가 계속적으로 오면서 2023년에는 역대급 비가 내릴 거라고 전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2023년 한국의 장마예상시기 

제주도, 남해안 : 6월 19일부터 23일 전후

남부 : 6월 23일부터

중부 : 6월 25일부터

장마가 종료하는 날은 7월 24일에서 25일 정도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 

보통 장마가 지속되는 기간은 한 달 정도

평균 강수량: 105mm~785mm로 지역 간 편차가 큽니다.

※  케이웨더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은 예년과 비슷한 시기에 장마전선이 북상하지만, 내륙으로 올라오는 건 (25일 전후) 보다 늦어질 확률이 높을 수도 있다고 했으며 장마가 오기 전에라도 내륙에 강한 비가 내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기상청은 정체전선과 장맛비에 이어서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는 게릴라 폭우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집중호우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작년 2022년 한국의 장마를 살펴보면 

중부지방은 6월 24~25일에 시작해서 7월 23~26일 종료

남부지방은 6월 23~25일에 시작 7월 19~22일 종료

제주도는 6월 19~20일에 시작 7월 15~18일 종료

- 작년에는 거의 한 다동 안 비가 내려서 역대급 장마기간으로 분류가 되고 있다.

- 평균 17-18일 정도 장마기간을 유지한다

 

2.  장마대처법

★ 사전준비★

1. 과거에 발생했던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 확인하고 가족과 이웃 함께 공유

-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홍수, 침수(저지대), 산사태, 해일 등 재해위험 요인을 미리 확인

-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이 위험할 경우 정비하는구나 시. 군. 구청에 신고.

2. 재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한다.

기상특보나, 홍수 산사태 등 재난 예보, 경보를 수신할 수 있게 TV, 라디오, 등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앱 등을 미리 설치한다.

3.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방법 등에 대한 약속을 미리 정한다.

- 지역의 대피 장소와 안전한 이동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준다.

-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이나 이우소가 함께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한다.

-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등은 피하도록 한다.

4.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서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

-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둔다.

- 차량이 있는 경우 연료를 미리 채우고, 차량이 없을 경우 차량이 있는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게 미리 약속한다.

5.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함께 한다.

-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 대비장소, 대피경로 등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정비한다.

 

특보예보시

1. 호우예보지역과 시간을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공유한다.

-  TV, 라디오, 인터넷, 핸드폰의 안전디딤돌 앱 등으로 기상상확을 미리 파악, 가족과 주변인들과 함께 공우하고 대비.

2. 산간. 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

- 산간. 계곡, 하천, 방파제 등에서 양영, 물놀이를 멈추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한다.

-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공간이나 붕괴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

3. 차량이나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과 지역주민이 함께 미리 준비.

- 하천,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

-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 막힌 곳은 뚫어야 한다.

-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에서는 기상 특보가 모래주머니, 물막이 판 등을 이용하여 피래를 예방.

-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

- 공사장,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은 미리 점검.

4.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 준비, 재난발생에 대비

- 비상시 신속히 응급용품을 가지고 대피할 수 있게 사전에 배낭등에 모아둔다.

-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욕조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둔다.

- 재난정보 수신을 위해 핸드폰에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 가까운 행복복지센터 등과 긴급 연락망을 확인.

5.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의 안부를 수시로 확인.

-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고 외출을 자제하고 , 주변에 정보 공유

-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 확인.

 

특보 중

1. 나와 가족, 지인들의 안전을 위해 외출은 자제, 정보를 지속적으로 청취하며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과 공유한다.

- TV, 라디오 등을 통해 정보를 청취하면서 내가 있는 지역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주변사람들과 공유.

- 외부에 가족과 지인이 있다면 연락하여 안전을 확인하고 위험정보 공유

- 차량은 속도를 줄여 운행. 급류에 휩쓸릴 수 있거나 침수될 위험지역은 접근하지 말고 주변사람에게도 알린다.

2. 건물, 집안 등 실내에서의 안전수칙을 미리 알아두고 가족과 함께 확인.

- 건물의 출입문, 창문은 닫아서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창문, 유리문에서 되도록 떨어져 있도록 한다.

- 강풍으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가급적 창문이 없는 욕실, 방이나 집안의 제일 안쪽으로 이동한다.

- 가스누출로 2차 사고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차단. 감전 위험이 있는 집 안팎의 전기시설은 만지지 않는다.

- 정전 발생 경우. 양초를 사용하지 말고, 휴대용 랜턴, 휴대폰을 사용한다.

3. 위험지역은 접근하지 말고,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대피.

- 침수지역, 산간. 계곡,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공사장, 가로등, 신호등, 전신주, 지하공간 등 위험지역은 접근금지.

 

장마이후 대처법

1. 가족과 지인의 안전 여부를 주위 사람들과 함께 확인. 실종이 의심될 경우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

2. 호우로 인한 피해 여부를 주변사람들과 함께 확인한다.

- 대피 후 집으로 돌아온 경우 주택의 안전여부를 확인하고 출입.

- 파손된 시설물은 가까운 시. 군. 구청이나 행정복지에 신고한다.

-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 침수된 주택은 가스, 전기차단기가 내려가 있는지 확인하고 한국가스안전공사(1544-4500)와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또는 전문가의 안전 점검 후에 사용한다.

- 호우로 피해를 입은 주택 등은 가스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하고, 환기 전까지 성냥불이나 라이터는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 쓰러진 농작물은 일으켜 세우고, 침수된 논과 밭을 배수할 때는 작물에 묻은 흙, 오물 등을 씻어내고 긴급 병해충 방제를 실시한다.

 

3. 안전을 위한 연락처, 홈페이지

1. 위기상황, 긴급상황 시 신고전화

 - 재난신고 119, 범죄신고 112, 민원상담 110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044) 205-1542~3

 - 기상청 02) 2181-0503

 - 보건복지부 044) 202-2652

2. 행정안전부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등 안내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안전디딤돌'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행정안전부 대표 홈페이지

 

www.mois.go.kr

 -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http://www.safekorea.go.kr

 

www.safekorea.go.kr

이번 여름에는 장마로 인해 피해가 없길 바라며 모두들 안전 수칙 잘 지켜서 잘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