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적인 세상

아동기에 겪는 심리 장애

by freelife40 2023. 5. 5.
반응형

1. 아동기에 겪는 심리 장애 - 아동기 장애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템플 그랜딘 박사. 이 박사는 자폐증을 이겨낸 사람으로 세계적으로 저명한 자폐인이면서 가장 많은 업적을 이루었다고 말했다. 그랜딘은 나는 그림을 통해서 생각한다: 자폐인의 내면세계에 관한 모든 것이라는 자서전을 통해서 소개되었다. 2세가 되던 해에 그녀는 의사들로부터 뇌가 손상되어 힘들다는 진단을 받았으나 어머니는 딸을 위해 최고의 교사와 학교를 찾는 것에 노력했고, 의사가 말한 것을 거절한 어머니의 결정이 자신의 업적에 도움이 컸다고 말했다. 

1. 파괴적 기분조절곤란장애

아동들의 짜증의 정도도 전문가에게 문의해야 하는 사례가 있다. 심각한 짜증을 내는 아동들은 학업이나 사회인 상황에서 요구되는 능력들의 손상이 우려된다. 이런 문제를 보이는 아동들에게 진단할 수 있는 장애가 다양하다. 과거 일부 전문가들은 큰 분노증상을 보이는 아동들 중 지나치게 불안정한 상태를 보이는 경우에 소아 양극성장애(PBD)로 진단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성인들에게 보이는 조증과 드러내는 분노가 동일하다고 하였다. 정말 양극성장애라면 평생을 이 장애가 계속되어야 하지만, 성인이 되어서 제1형 양극성장애나 제2형 양극성장애의 진단을 기준하는 것 중에 어떠한 쪽으로도 충족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러한 면이 양극성장애진단에 대해서 큰 논쟁점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PBD와 관련된 논쟁들로 인하여 DSM-5 저자들은 파괴적 기분조절곤란장애(DMDD)의 새롭게 진단을 기준할 것을 만들었다. 파괴적 기분조절곤란장애를 진단받은 아이들은 좋지 않은 상황 속에서 일주일에 3번 이상 학업이나 사회적으로 방해가 될 정도의 극단적인 분노를 보였다. 파괴적 기분조절곤란 장애아들은 화가 절정에 이르면 공격과 파괴적인 행동을 보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DMDD의 진단기준으로 잘못 진단된 아동의 비율이 감소되었다고 하였다. 이 아동들은 정서 조절에 있어 다른 또래보다 발달이 뒤쳐진다고 한다. 예를 들자면 보통의 아이들은 본인들의 요구가 거부도면 잠시동안 화를 내고 실망을 하지만 다시 다른 것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파괴적 기분조절곤란장애아들은 매우 격분하며 어른들의 노력에도 엄청난 저항이 있다. 이런 일이 보통 일주일에 3회 이상 나타나고, 이런 정서적 변화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므로 어른들은 무력감을 경험하고 나서 아이들로부터 멀어지게 된다고 하였다. 어떤 다른 연구자들은 이 장애가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이 장애를 진단받은 아이들의 유아기 때 까다로운 성격을 나타낸다고 하였고, 이 진단을 받은 형제, 자매가 있는 아동들은 이 장애 진단을 받을 확률이 높다고 말하였다. 많은 연구결과 이 장애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행동수정법을 제시하고 있다. 

2.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평생을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거나 형성하는 데 있어서 힘들다는 특징이 있다. 이 장애에서 기능의 수준이 떨어지는 아동들은 언어의 구사능력의 한계가 있고, 사회적으로도 관계를 맺는 것에 능력이 부족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범위 자체가 심각하게 제한되어 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는 대분분은 지적장애가 동반되어 있고, 충동이 높고, 외부 자극에 느리게 반응하며 쉽게 산만해진다고 하였다. 

일반적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진단된 아동들은 언어적으로 소통하는 것이 어느 정도는 가능하고, 약간의 인지적 손상이 이 있다. 다른 사람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힘들다. 본인이 처한 상황은 고려되지 않은 채 다른 부적절한 문장을 반복한다거나 로봇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고기능 자혜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DSM-IV-TR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이런 아이들은 흔히 우리가 접하는 천재성을 띤 아이들로 언어나 인지적 능력을 보이고 높은 아이큐 점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되어 있지 않고, 이러한 아동들은 취학 전에는 '대기만성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대부분의 이런 아동들은 독특한 행동을 나타내며, 강박적인 행동이나 무의미한 것들을 외우는 것에 집착을 한다. 예전에는 이런 장애가 육아를 잘못해서 생겨난 결과라고 믿었다. 하지만 이 장애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정립이 이루어지면서 신경학적 이상이 원인이라고 밝혀졌다. 따라서 ASD는 DSM-5에서 유년기나 청소년기 때 신경학적 요인으로 인해서 진단되는 신경발달장애에 속하는 심각한 장애에 속한다고 하였다. 이 장애에 대한 치료방법은 존재하지 않지만 일부 삶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있다고 한다. 사회기술훈련이나, 자해행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행동수정과 같은 방법이라고 한다. 치료에 대한 결과는 아동에 따라 다양성을 나타내며, 전문가들은 아동의 독특한 욕구에 맞춰서 하는 치료기법의 적용이 성공적인 치료의 핵심이라고 하였다. 

LIST

댓글